내가 호주, 미국 직장 문화 경험을 통해 깨달은 점

🕑 리딩타임: 4

내가 호주, 미국 직장 문화 경험을 통해 깨달은 점

 

성수동호랭이

 

 

22살 때 호주 쇼핑몰에서 일년 동안 양말을 팔았었다. 24살 때 미국 모자회사 마케팅 팀에서 반년 동안 인턴생활을 했었다. 그리고 지금 한국에서 5개월째 한 일터의 신입으로 배워가며 일을 하고 있다. 남들보다 사회생활을 오래한 것은 아니지만 외국과 우리나라에서 돈을 벌어먹고 살면서 회사생활에 있어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는 누구보다 가슴 깊숙한 곳에서 깨달은 점이 많다는 것을 자신할 수 있다.

 

JANDI-blog-content-smart-work-what-i-learn-from-work-experience-in-us-and-austrailia
국가별 웰빙 순위: 총점 & 분야별 (www.well-beingindex.com/2014-global-report)

 

 

미국 여론조사 기관인 갤럽과 헬스웨이는 지난해 145개국 15세 이상 남녀 14만6000명을 대상으로 삶의 목표, 사회적, 경제적, 공동체적, 육체적 웰빙 총 5개 항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한국 사람들은 경제적으로만 어느 정도는 well-being을 하는 중이라고 생각하지만, 그 외 나머지 항목들은 대부분 100위권 밖으로 종합 117위를 차지했다. 반대로 호주는 40위 미국은 23위에 랭크 되었는데, 무엇이 이렇게 한국사람의 well-being을 방해하는 것이란 말인가?

 

JANDI-blog-content-smart-work-what-i-learn-from-work-experience-in-us-and-austrailia-01
호주 멜번의 빅토리아 마켓의 나이트마켓

 

 

호주에서 살면서 양말을 팔던 때를 생각하면, 나야 비루한 외국인 노동자 신분이었지만 나처럼 쇼핑몰에서 일하던 Aussie(호주사람들을 일컫는 말) 언니 오빠 아줌마 아저씨들 혹은 사무직에서 일하던 분들은 아무리 많은 시간을 일해도 8시간을 넘지 않게 일을 했었다. 물론 비루한 외국인 노동자였던 본인도 항상 8시간 미만을 지켰었다.

심지어 내가 살던 동네에서 대도시인 멜번으로 올라가는 고속도로와 도시 내 도로들은 세시만 되면 차가 꽉 막히기 시작했는데 의아해하는 나에게 옆에서 운전하던 오지아줌마는 세시가 퇴근시간인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차가 막히는 것이라고 설명해주었다. 물론 우리나라처럼 5시 혹은 6시가 퇴근시간인 사람도 많았지만 낮 세시에 퇴근하는 사람들 때문에 트래픽이 생긴다는 사실은 나에게 굉장한 문화충격이었다.

호주 사람들은 항상 업무 시간 중 잉여시간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일을 했다. 근무시간에 차를 마시며 시간을 보낸다던가, 담배를 피러 사라지는 사람들도 없었으며, 점심시간은 칼같이 지켰다. (물론 이러한 이유가 시간당 급여가 높고, 담배 값이 살인적으로 비싸기 때문이라고 한다면 할 말이 없겠지만.) 그렇게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야근이나 주말근무를 싶어도 할 수가 없어지고 퇴근 후와 주말에 자신의 온전한 생활을 가지며 Well-being life를 즐겼다.

 

JANDI-blog-content-smart-work-what-i-learn-from-work-experience-in-us-and-austrailia-02

 

 

그리고 한국으로 돌아와 그렇고 그런 한국의 대학생으로 두 번의 학기를 보내고 운 좋게 마지막 학기를 미국에서 인턴생활을 하며 보낼 수 있게 되었다. 일명 장기현장실습. 미국에서 손꼽히는 모자회사 마케팅 팀에서 반 년 동안 인턴생활을 하면서 내가 느낀 점은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자고 한국사람들은 그리 오랫동안 일하는 것인가!” 정도? 적어도 내가 반 년 동안 지켜본 회사 언니 오빠 팀장님 외 여러분들 중 우리나라 많은 직장인들처럼 야근이나 주말근무를 하는 사람들은 없었다. 드물게 다섯 시 정규퇴근 시간을 무려 한 시간 반이나 넘겨 여섯 시 반에 퇴근하는 사람들이 있었을 뿐이다.

내가 관찰한 바로 그 회사는 부서나 팀 내 그리고 회사 차원의 미팅의 횟수가 한국 회사들보다 현저히 적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의 스케줄이나 전달사항은 모두 구글 캘린더에 업로드가 되었고, 업로드된 스케줄과 전달사항은 개인 지메일과 스마트폰 내 캘린더로 연동되어 알람이 왔다. 회의를 시작하면 아무리 적어도 한 시간이 소요 될 텐데 그런 시간까지 온전히 자신의 개인 업무를 진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무슨 업무를 하는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 시간이라면 정말 많고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절약되는 시간 덕분에 그들은 정해진 시간 내에 자신의 할당량의 업무를 끝낼 수 있었다. 그렇게 업무시간이 지나고 다섯 시 일분이 되면 일제히 가방을 싸서 집으로, 피트니스센터로, 맥주집과 와인바가 모여있는 번화가로 향했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하루도 빠짐없이 칼퇴를 하는 외국의 사례나 기사를 볼 때 누군가는 “저래가지고 회사 꼴 잘 돌아가겠다.” 라고 비꼬는 사람들이 종종 있겠지만, 이 지구상에 있는 모든 회사의 궁극적인 목표이자 존재이유는 이윤추구이다. 칼퇴 한다고 이윤추구라는 목표가 잘 달성되지 않는다면 이세상에 칼퇴 시켜주는 회사는 한 곳도 없을 것이다.

우리가 일을 하며 돈을 버는 이유는 회사에서 열심히 일하고 월급 많이 받아서 그 돈을 가지고 만족스러운 삶을 사는 것이다. 우리는 왜 시간낭비를 통해 우리 삶을 포기하고 있는 것일까? 내가 생각했던 것과는 다르게 여러분들의 일을 하는 목적은 ‘오래 회사에 남아있기’인가?

나는 요즘 한 달에 두 세 번을 제외하고는 어김없이 칼퇴를 하고 열심히 일해서 번 돈으로 평일 저녁엔 체육센터 등록을 해서 체력을 가꾸고 그 이후에도 남는 여유로운 저녁시간을 여가활동을 보낸다. 바로 이것이 well-being life.

어서 빨리 내일이 와서 출근하면 좋겠다. 그래야 월급날 다가오고 또 돈 생겨서 돈 쓰지!

 

 

 

JANDI_blog_website_conversion_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