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패션 회사가 찾는 인재가 갖춘 능력은 무엇일까?

🕑 리딩타임: 5

미국 패션 회사가 찾는 인재가 갖춘 능력은 무엇일까?

profile-image-kanggihyang-jandi-blog-image-강기향

 

 

 

회사에서 가장 중요한 점을 뽑으라면 단순 직무 능력보다 협업, 팀워크, 커뮤니케이션이다. 특히 미국 구인 글에 꼭 빠지지 않는 요구 사항들은 Team Player(팀 플레이어), Exceptional Communication Skills(뛰어난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이 있다. 보통 커리어를 시작하는 20대 중반 이전, 단체 문화를 겪어볼 기회가 흔치 않은 미국에서는 협업과 팀워크가 가능한 인재를 중요시 여긴다. 대학 4년 내내 팀 프로젝트, 대학 축제, 외부 활동 기회가 많지 않기에 직장 생활을 시작한 후 각종 미팅, 출장을 힘들어하는 이들이 많다. 이런 문제로 패션 분야에서는 조직 생활보다는 프리랜서로 혼자 근무하는 디자이너도 적지 않은 편이다.

 

오픈 큐비클(Cubicle), 단체 봉사 활동, 자유로운 사내 분위기, 직책 없애기!

reasons-why-your-company-will-keep-you-01

 

미국 패션 회사가 가장 강조하는 건 협업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다. 우리나라와 비슷하게도 처음에는 너무나 원하던 회사의 ‘Big Job(대단한 직업)’일지 몰라도 막상 근무하다 보면 잦은 야근, 사내 가십, 업무의 강도 등을 겪으며 “관두고 싶다.” 라는 생각이 들기 마련이다. 이러한 생각이 드는 시기가 오면, 늦장을 부리다 중요한 벤더(vendor)의 답장을 하지 않거나 오피스 가십은 물론 같은 부서 동료들과 긴장감 넘치는 상황을 유지하는 등 태도에 변화가 일어난다.

 

국내라면 소주와 막창을 통해 대화로 풀어나갈 수도 있지만, 딱히 1:1로 조언이나 대화를 나누는 것이 문화가 아닌 미국에서는 어떻게 할까? 당장 사람을 구할 수도 없고, 바쁜 시기라 신입을 교육 시키는 것도 가능하지 않다면? 그리고 직무 실력은 뛰어나 아쉬운 인재라면? 미국 회사에서는 이러한 개개인의 협업 능력과 각종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사내 문화를 독특하게 바꾸어 나가고 있다.

 

딱딱하기 그지 없는 큐비클(Cubicle)을 오픈 큐비클 형태로 바꾸며 옆의 동료와 쉽게 소통하게 만들며, 프라이버시라는 것을 없앰으로써 자잘한 수다는 물론 업무 외 개인적인 것들을 하지 않도록 만드는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벽이 있다면 더더욱 이야기하지 않는 개인주의에서 옆자리에 훤히 보이기 때문에 한 마디라도 더 나누게 되는 문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매니저, 신입, 시니어 디자이너와 같은 직함과 명함을 없앰으로써 서로의 이름을 부르게 만들며 좀 더 친근한 분위기와 ‘잡담’을 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한다.

 

소위 말하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와 같은 살벌한 패션 회사들의 문화를 바꾸어 나가며 자유롭고 창의적인 분위기에서 아이디어를 나눌 수 있도록 배려한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디자이너는 자신의 역량을 펼칠 수 있으며, 능력보다 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자연스레 늘릴 수 있는 상황을 만든다.

 

reasons-why-your-company-will-keep-you-02

 

상대적으로 이직률/퇴사율이 다른 도시에 비해 월등히 높으며, 그중에서도 패션 디자인 업계는 1위를 다툴 것이다. 또한, 회식 문화가 없는 한국과 다르게 미국에서는 최근 단체 봉사활동이 협업심을 기르는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평일 근무를 빼고(수당은 받으며!) 가까운 공원이나 도움이 필요한 단체에서 급식 배급, 청소, 디자이너로서 직무 설명 등 다양한 활동을 단체로 한다.

 

이와 같은 문화를 통해 마감에 쫓기는 회사에서 벗어나 단순히 동료로서 알고 있던 옆자리 제니퍼, 옆 부서의 마이클과 이야기를 나누며 서로 업무에 대한 고충은 물론 앞으로 함께 업무를 하며 개선할 방향 등에 대한 자연스러운 결론 도출까지 가능하다. 이러한 활동은 ‘단체’라는 기분을 느끼게 해주는 것은 물론 팀워크와 회사에 대한 만족도까지 높이는 일석이조의 활동이다.

 

 

사내 정치는 곧 팀 플레이어 능력?

많은 뉴욕의 회사들은 저마다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일하는 방법, 중요도 및 여러 요소가 다른 만큼, 적응 기간은 물론 인성, 태도, 전문성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철저히 평가해 해고/승진을 선택한다. 여기에는 책무는 물론 사내 정치 능력 또한 전문성(Professionalism)으로 구분한다. 이런 만큼, 다른 부서와의 서 생길 수 있는 갈등과 경쟁 구도에 놓인 동료와의 관계를 어떻게 대처하는지, 미국 회사들은 중요하게 생각한다. 상당히 안 맞는 상사나 옆자리의 동료와 사사건건 부닥칠 때마다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은 미국 기업에서 가장 원하지 않는 태도이다. 매니저나 인사과의 개입을 최소화시키고 자신이 어떻게 다른 사람들과 팀으로서 협심을 이루어 내는지, 상사와의 불찰이 있을 땐 단순히 예스맨이 아닌 어떻게 자신의 의견을 관철하는지와 같은 모습도 꼼꼼히 검사한다.

 

reasons-why-your-company-will-keep-you-03

 

이러한 사내 정치는 다시금 이야기해 ‘인간관계’를 어떻게 이끌어나가는지에 대해 미국 기업들에 대한 자세를 보여준다. 인간관계는 기본적으로 팀 플레이어 라는 것을 나타내며, 최소한 불화를 줄이고 단체로 결과를 낼 수 있는 융통성을 가진 인재를 선호한다. 국내에서는 오리엔테이션뿐만 아니라 각종 친목회를 통해 서로를 알아가지만 이러한 발판이 없는 상태에서 사원들이 헤쳐나가는 모습을 중요시하는 미국 기업은 어떻게 보면 방관자의 자세를 취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만큼, 회사는 업무와 인간관계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팀 플레이어’를 찾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능력자가 가지고 있는 인성과 태도는 이미 능력이라는 말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미국 패션 기업에 알맞은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미국도 국내와는 크게 다르지 않게 협업, 커뮤니케이션, 팀플레이어의 자질을 요구한다. 특히 개개인의 성향이 국내보다 뚜렷한 뉴욕에서 위와 같은 자질을 가진 인재가 되는 것은 생각보다 많은 인내심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하루 수십 개의 벤더(Vendor)들과 이메일을 주고받으며 미팅을 하는 미국 회사에서는 정확하고 신속한 이메일 답장과 직속 상사에게 보고 역시 이 범주에 들어 간다. 자신의 할 일을 찾아서 하는 사람을 높게 사는 국내 문화와는 다르게, 정확히 묻고 자신보다 윗선에 있는 직책의 확인을 받고서 일을 시작하는 확실한 대화 능력을 갖춘 인재를 선호한다.

 

큰 틀은 비슷하지만, 실제 막상 근무 환경을 들여다본다면 미국 현지 사정과 현지인들의 마인드에 맞춘 컨셉트이다. 또한 활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통해 인사과(HR)의 담당자들과 꾸준한 소통을 통해 자신의 자리를 잘 차지하고 있는 것 또한 능력으로 비친다.

 

현재 IT 회사의 인사과 총괄 매니저로 일하고 있는 Cameron Williams는 “취직할 때나 인사과를 두드리던 그런 사람들은 저조한 실적을 냈을 때 정리 해고 순위 1위죠. 종종 지나가다가 잘 지내냐는 말, 커피라도 한잔하며 회사 생활이 어떤지 꾸준히 업데이트해주는 소통 능력이 있는 인재를 실적이 크게 좋지 않더라도 데리고 있죠.” 그의 말처럼, 서로 다른 문화에 기반 한 소통이나 공통점은 꾸준한 인간관계라는 점을 잊지 말고 접근해야 할 것이다.

 

 

 

JANDI_blog_website_conversion_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