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P는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게 될까요?
요즘은 AI가 단순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넘어 직접 행동하고 다른 서비스와 접목하는 흐름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습니다. 기존의 AI는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와 외부 시스템이 연결되는 것이 아니기에 실시간 데이터 활용이나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는데요.
이제는 AI가 “캘린더에 일정 생성”, “메일 발송”, “노션 업데이트” 와 같은 자동화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AI와 외부 서비스를 하나의 표준화된 방식을 통해 연결하는 MCP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AI 모델이 표준화된 방식으로 외부 서비스와 안전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정의한 프로토콜입니다. 여기서 프로토콜은 시스템 또는 컴퓨터 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을 ‘규칙’으로 정한 것으로, AI에도 이러한 표준 규칙을 적용한 것이에요.
즉, MCP는 AI 모델이 여러 서비스들과 호환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확한 답변 도출과 실제 업무를 수행하도록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덕분에 복잡한 API 연결이나 프롬프트 설계 없이도 MCP 표준 안에서 AI에 연결할 수 있어요. 특히, 표준을 활용하기 때문에 AI 에이전트를 활용하는 것보다 보다 쉽고 빠르게 실무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Claude
MCP를 검색하면 위의 이미지가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데요. 랩탑에 어댑터를 연결하면 마우스, 키보드, 외장하드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것처럼 MCP를 통해 AI는 캘린더, 날씨와 같은 외부 도구와 연결됩니다.
어댑터가 없으면 장치들과 랩탑이 서로 인식하지 못 하는 것처럼 MCP가 있어야 AI와 외부 데이터가 연결되어 안전하게 소통할 수 있는 것이지요.
잔디는 지난 10년간 축적해온 업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 협업의 생산성을 돕는 생성형 AI 스프링클러를 출시했습니다. 스프링클러는 잔디 안에서 AI가 대화의 맥락과 업무 데이터를 함께 이해해 더 똑똑한 협업을 지원하도록 돕고 있어요. 하지만, 스프링클러가 모든 최신 데이터를 반영하기 어렵기에 내부 데이터만으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외부 환경과 실시간 정보를 완벽히 활용하기 어려웠습니다.
잔디AI 유저 분들이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해 더 확장된 잔디 AI를 경험하실 수 있도록 다양한 외부 데이터와 도구를 잔디 안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MCP 도구를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MCP를 통해 단순히 잔디 내에서의 AI 활용을 넘어 실제 업무 흐름 속에 더 깊이 관여할 수 있습니다.
잔디에서 협업하면서 외부 서비스의 실시간 데이터를
잔디로 받아오고 결과를 자유롭게 활용합니다.
1️⃣실시간 데이터 활용
잔디 AI가 외부에 있는 사내 정보를 포함한 최신 데이터에 접근할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유저들이 잔디 안에서 바로 최근 랭킹 뉴스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중요한 회의 전 트렌드 파악부터 오늘의 핵심 뉴스 확인까지 모든 정보의 탐색을 잔디 안에서 해결할 수 있어요.
[MCP 활용 예시]
- 오늘 서울의 날씨 알려 줘
- 오늘 뉴스 헤드라인 주요 기사를 정리해 줘
2️⃣AI 확장성
잔디 AI는 사용자가 업무의 흐름을 끊지 않고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지향합니다. 예전에는 일정을 확인하려면 구글 캘린더로, 문서를 찾기 위해 노션으로 이동해야 했다면 이제는 여러 외부 서비스를 잔디에 바로 연결해 AI가 업무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확장합니다.
[MCP 활용 예시]
- 구글 캘린더 일정을 확인하고 2시에 주간회의를 추가해줘
- 노션에 정리된 잔디 AI 관련 페이지를 찾아서 알려 줘
3️⃣누구나 쓸 수 있는 AI
잔디 MCP 도구는 AI 기능을 활용하는 ‘잔디홈’ 안에서 자유롭게 서버를 추가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잔디홈은 잔디의 시작 공간으로 오늘의 할 일과 일정을 바로 확인하고, 생성형 AI와 안 읽은 메시지 요약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AI 업무 공간입니다.
여기에 MCP 도구가 결합되면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MCP 도구를 직접 추가하고 활용하며 개인 맞춤형 AI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내가 필요로 하는 외부 서비스를 직접 연동해 데이터를 불러오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AI가 자동화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요.
예를 들어, 구글 캘린더 일정을 확인하고 바로 생성하고 싶다면 이제 잔디홈 안에서 캘린더 일정을 확인하고 일정을 생성하는 것까지 잔디를 벗어나지 않고도 가능하게 되면서 개인의 AI 업무 활용 능력이 한층 강화됩니다.
✅생성형 AI
생성형 AI로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안 읽은 메시지를 AI가 요약해 줍니다.
✅MCP 도구
구글 캘린더, 노션, 네이버 검색 등 최신 데이터에 접근하여 AI 자동화를 수행합니다.
✅오늘의 일정·할 일 관리
오늘의 일정은 시간대별로, 할 일은 진행 현황까지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개인의 업무 역량에 AI 활용 능력이 필수적으로 포함되고 있습니다. 이제 단순히 요청한 정보에 대답하는 AI를 넘어, 함께 협업할 수 있는 MCP를 통해 AI 활용 능력을 끌어올릴 수 있어요. 잔디 안에서 필요한 정보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외부 서비스도 자연스럽게 연동해 AI가 만들어내는 진짜 업무 생산성을 경험해 보세요.
MCP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잔디 AI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배너를 통해 문의해 주세요. AI 전문 컨설턴트가 우리 기업에 딱 맞는 잔디 AI 도입을 함께 고민해 드립니다.